국가정책 / / 2023. 2. 24. 09:27

청년도약계좌 대상, 한도, 조건 알아보기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궁금하시죠? 이번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 도약 계좌라는 이름으로 더 많은 혜택을 추가했습니다. 무려 이자만 대략 600만원을 지급해준다고 합니다. 2030 청년들이 주목하면 좋은 재태크가 될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아봤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2023년 기준 만 19세에서 34세 이하 (1988년생~2008년생)로 병역 이행을 한 경우에는 병역 이행 기간으로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됩니다. 
또, 개인 소득 6천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1인 가구일 경우에는 약 370만 원대 2인 가구일 경우에는 620만 원대입니다. 
기준 중위 소득은 2023년 중위소득표를 기준으로 합니다. 

 

 

납입한도는 월 최대 70만 원이고 5년의 의무 가입 기간입니다. 
정부 기여금과 은행 이자를 모두 합쳐서 만기 최대 5천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운용 방식

금리는 미확정이나 평균 5~6%대로 예상됩니다.

월70만원 납입가능하며,월 최대 40만원 정부 지원형태로 운영합니다. 투자운용 형태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으로 선택 가능합니다.

 

이자만 600만원? 2030 청년이라면, 무조건 혜택 챙기세요.

종잣돈 모으기 힘드시죠?

 

저도 같은 마음입니다. 불안한 경제 상황과 월급만으로는 내집 장만하기가 하늘의 별따기 이지요.

결혼도 포기 연애도 포기 투잡 뛰면서 종잣돈 모으기에 힘든 요즘입니다. 매일 일을 하지만 모이는 금액은 적고 앞으로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니까 불안한게 사실입니다.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함이 2030세대는 더욱 클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많은 부자들이 하는 이야기가 처음 종잣돈 모으기가 힘들지 한번 모인 종잣돈으로 더 많은 자산을 불리기는 쉽다고 합니다. 종잣돈 모으기에 고민이신 분들은 힘내시고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종잣돈 모으기에 고민이신 분들과 저에게 딱 필요한 상품입니다. 

만기 시 받는 금액

원금 (월70만원) + 기여금(6%: 4만2천원) x 12 x 5년 = 4,452만원 

은행이자 (연 5%기준 -월복리계산) : 약 615만원

총합계 : 원금 + 기여금 + 은행이자 = 약 5,067만원

 

계좌에서 발생되는 손익은 정부에서 담당하며 계좌 만기시 해제하는 경우,

이자와 배당소득은 비과세로 진행됩니다.

유의사항

의무 납입 기간이 5년으로 중장기 계획을 잡으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중도 해지시 감면세액 추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사제도 (청년희망적금 등)와 중복 가입 및 지원 제한합니다. 

단, 생애 최조 주택 구입 등 경우에는 중도 인출, 재가입 허용합니다. 

시행일

2023년 6월 시행 예정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pdf
1.84MB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 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및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및 청년희망적금 비교

예전 시행되었던 청년희망 적금에 비해 청년 도약 계좌는 혜택의 폭이 더 넓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